안녕하세요. 오늘은 가상자산의 세금 계산 방법에 대해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가상 자산의 양도 및 대여로 인한 소득세는 2023년 이후로 연기 되었지만, 가상자산 평가를 위한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2022년 1월 1일부터 시행 된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이번에 고시한 가상자산 사업자는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을 획득하고 은행 실명계좌를 확보하여 금융정보분석원 신고 완료된 4대 거래소입니다.
대부분 한번 들어보신 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입니다.
가상자산 상속 증여세 평가 방법
2022년 1월 1일 이후 가상자산의 상속 및 증여세 평가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가상 자산의 상속 및 증여일 전후 1개월의 하루 평균 금액으로 평균가액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국세청장 고시 사업자의 사업장인 4대 거래소 이외에도 거래일의 일 평균가액 또는 종료일에 고시된 시세가액 등 합리적으로 인정되는 가액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예름 들어보겠습니다.
A는 가상자산을 2022년 3월 5일에 상속 받았습니다.
2022년 3월 5일 국세청장 고시 사업자의 사업장인 4개 거래소의 가격을 살펴보겠습니다.
업비트: 13,000원
빗 썸: 12,000원
코 빗: 13,000원
코인원: 12,000원
그럼 2022년 3월 5일의 4대 거래소의 평균가격은 *12,500원이 됩니다.
* 3월 5일 일평균 가격 (13,000+12,000+13,000+12,000) / 4 = 12,500
전후 1개월의 평균 가격을 평균가액으로 평가한다고 했으니, 2022년 2월 5일부터 22년 4월 4일까지 하루 평균 금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2022년 2월 5일: 10,900원
2022년 2월 6일: 11,000원
˙
˙
˙
2022년 4월 4일 12,300원
이렇게 계산한 후
(10,900원+11,000+...+12,300) / 59 = 12,200원(가정)
일 평균 평균가액인 12,200원이 최종 평가 금액이 됩니다.
상송 및 증여가 이뤄진 당일의 거래가액으로 평가하지 않는 이유는,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의 특성을 감안해 2개월치 평균을 기준으로 삼았다고 합니다.